자료형이란?
프로그램의 기본이자 핵심단위
프로그래밍시 자료형을 지정하지 않아도 파이썬 냅에서 자동으로 자료형을 정해준다.
type()
print(type(3))
⇒ <class ‘int’>
print(type(’a’))
⇒ <class ‘str’>
변수
프로그램에서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의) 공간이자 프로그램 내부에서는 객체
값을 ‘=’ 즉, assignment(배치)를 이용하여 지정
a=’Hello!’
상수
프로그램의 실행 시작부터 끝날 때까지 변하지 않는 값
파이썬은 동적 변수 타입(엄격하게 보면 상수 또한 변경 가능)
통상적으로 상수는 대문자로 표기
리터럴
변수에 직접 고정된 값을 부여하는 것
값자체를 의미
a= ‘Hello!’에서 ‘Hello!’를 리터럴이라고 함
숫자형
정수와 실수
정수와 2/8/16진법 사이의 변환처럼,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 사이의 변환이 가능하다.
정수와 문자열
산술연산자
관계 연산자
정수(실수)와 문자형의 비교는 ‘같다’, ‘다르다’ 여부만 적용할 수 있음
정수(실수)와 문자형 값에 대한 산술적인 크기 비교시 오류 발생(TypeError)
복합대입연산자
연산자의 우선순위
곱셉/나눗셈이 덧셈/뺄셈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며,
곱셉/나누셈과 덧셈/뺄셈처럼 같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연산의 경우
왼쪽에서 오르쪽 순서로 계산 진행
수학에서 하는 것과 동일하게 먼저 연산하고 싶은 부분을 괄호() 묶음
but, 파이썬에서 수학에서처럼 대괄호, 중괄호, 소괄호 개념이 없음
'파이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숫자와 문자열의 함수 (0) | 2023.09.12 |
---|---|
파이썬 변수와 입력 (0) | 2023.09.12 |
파이썬 문자형 (0) | 2023.09.12 |
파이썬 용어 (0) | 2023.09.05 |
파이썬 소개 (0) | 2023.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