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자료구조 <변수>

um_coding 2023. 8. 22. 20:46

변수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명이 중요한 이유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식별자

변수는 메모리에 할당

해당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사용

기본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는 RAM에 저장된다.

8gb, 16gb, 62gb, 32gb, 64gb등등의 의미를 이해하자

8비트 = 1바이트

그럼 32gb RAM을 가진 컴퓨터라면 이론상 320억개의 바이트를 가지고 있다.

바이트마다 붙는 주소. 다 외울 수 있을까?

우리가 특정 자료를 메모리에 저장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바이트단위로 나눠진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

즉, 320억개의 바이트를 가진 32gb램은 이론상 1번지~320억번지까지 320억개의 주소가 있다.

그래서 대부분의 언어에서 메모리에 뭔가를 저장할 때에 우리가 주소를 직접적으로 지정할 수 는 없다.

즉 우리가 메모리에 3이라는 숫자를 저장한다고 가정하면, 실제로 아래와 같이 랜덤한 번지수에 저장된다는 이야기이다.

만약 게임을 실행하는 데 1억개의 자료를 사용하고 있는데 내가 1번지에 다른 자료를 저장하게 된다면 게임에 관한 자료가 소실될 수 있어서 컴퓨터가 알아서 빈 공간에 저장한다. 그때 그때 비어있는 자리를 채운다고 생각하면된다.

당연히 우리가 다시 저장된 자료를 꺼내고 싶을 때에도 번지수를 알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렇게 저장하는 자료가 수십~수백개를 넘어선다면, 몇 번지에 어떤 자료가 들어갔는지 굉장히 찾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그래서 의미없는 번지수 대신 사람이 외우기 쉬운 “변수명”이라는 것을 해당 주소에 붙여서 사람은 변수명만 외우면 컴퓨터가 알아서 변수명과 매칭된 주소에 있는 데이터를 꺼내주는 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우측과 같이 주소에 이름을 부여하면 사용자는 단서가 없는 숫자 주소를 기억할 필요가 없다.

실제로는 자료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저장하는 점유 크기는 달라진다.